개설목적
- 지식정보사회에 필요한 효과적인 경영이론 교육
- 학문적 이론과 실무를 체계화한 사회적 효용성 증진
- 기업조직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전문지식 보급
- 경영학적 사고의 틀을 갖춘 유능한 인재 양성
교육내용
경영학과의 교육내용은 크게 7개 분야(경영일반, 생산관리, 마케팅관리, 인사·조직, 재무관리, 회계학, 경영정보)로 구분됩니다.
- 경영학 입문:기초 교과목 (경영학원론, 경영분석을위한기초통계, 기초미시경제론, 기초거시경제론)
- 인사조직:조직 구성원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인재 관리와 리더십 개발을 통해 조직의 성과와 혁신을 이끌어내는 방법을 연구(조직행위론, 인적자원관리, 조직창의성과 혁신, 노사관계론, 인사조직특강)
- 마케팅:고객의 욕구를 파악하여 새로운 제품을 기획·입안하며, 기존제품의 판매전략을 수립하는 일련의 과정을 연구(마케팅론, 소비자행동론, 마케팅조사, 마케팅커뮤니케이션관리, 마케팅특강)
- 재무관리:기업의 합리적인 투자결정과 그에 따른 자본조달 및 운영과 관련된 제이론과 기법에 관한 연구 (재무관리, 금융투자의이해, 경영분석, 금융제도의이해)
- 회계:기업과 관련된 재무정보를 인식·측정·기록·전달하는 과정을 연구 (재무회계원리, 중급재무회계, 원가회계, 관리회계, 세무회계)
- 생산관리:제품 및 용역의 효율적인 생산을 위한 생산자원의 최적 결합 및 생산 시스템의 전반적인 분야를 연구 (경영의사결정론, 생산관리, 공급망관리, 스마트서비스운영관리)
- 경영정보:기업의 경영진이나 관리자에게 각종 경영정보를 신속·정확히 전달하여 생산성과 수익성을 높이는 과정을 연구(IT와경영정보시스템, e-비즈니스)
- 전략/국제경영/기타 : 경영 핵심교과를 기본으로 해당 분야를 연구 (벤처창업론, 주식회사법, 국제경영학, 경영전략론)
경영학은 사회 시스템의 하위 시스템인 기업 시스템을 다루고 있습니다. 기업 시스템은 경제, 기술, 사회 시스템으로서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, 이를 분석하는 데 기초가 되는 학문으로는 행동과학(조직행위론)과 경영과학(경영의사결정론)이 있습니다.
동시에 인접학문으로서 경제학, 사회학, 심리학, 정치학, 행정학, 산업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문적 지식이 요구됩니다.
동시에 인접학문으로서 경제학, 사회학, 심리학, 정치학, 행정학, 산업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문적 지식이 요구됩니다.
졸업 후의 진로
경영학과 졸업 후의 진로는 매우 다양합니다. 공인회계사(CPA), 세무사, 공인노무사, 금융전문가, 경영컨설턴트 및 전문경영인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.
또한, 많은 학생들이 대학 졸업 후 계속적인 학습을 위해 대학원에 진학하여 전문가로서의 기반을 다지고 있습니다
또한, 많은 학생들이 대학 졸업 후 계속적인 학습을 위해 대학원에 진학하여 전문가로서의 기반을 다지고 있습니다

기업을 효율적으로 운영, 관리할 수 있는 경영 전반에 대한 이론과 실무를 교육함으로써 21세기를 대표하는 유능한 경영인재를 양성합니다.
졸업 후에는 민간 및 공영기업, 공인회계사, 세무사, 공인노무사를 비롯해 경영 전문인력을 요하는 사회 각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습니다.